본문 바로가기

건설기준및지침

하천공사 설계실무 요령 (2024)

반응형

하천공사 설계실무 요령 2024 표지

하천공사는 홍수 예방, 수질 개선, 친환경적인 수변공간 조성을 목표로 수행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설계 기준과 실무 요령을 이해하고 적용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하천공사 설계 실무에서 중요한 사항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하천공사의 기본 개념

하천공사는 크게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집니다.

치수(治水) 목적: 홍수 예방, 수해 방지, 제방 조성 등

이수(利水) 목적: 용수 공급, 수질 관리, 하천 유지 수량 확보 등

환경 및 경관 개선: 하천 복원, 친환경 호안 정비, 수변공원 조성 등

설계 시에는 이러한 목적을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하며, 법적 기준과 설계 지침을 충족해야 합니다.

 

2. 하천공사 설계 단계

하천공사 설계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됩니다.

2.1 기본조사 및 계획 수립

대상 하천의 현황 조사 (유역면적, 유량, 단면 형상 등)

하천의 법적 지정 현황 및 관련 법규 검토

수리해석을 통한 홍수위 산정 및 하천 단면 설정

생태 및 환경 영향 평가 수행

2.2 기본설계

하천 종단 및 횡단 형상 결정

제방 및 호안 구조물 배치

배수 및 하수처리 시설 계획

하천 정비 시뮬레이션 수행

2.3 실시설계

구조물 상세 설계 (제방, 교량, 배수시설 등)

시공 방법 및 공정 계획 수립

예산 및 공사비 산출

 

3.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

3.1 수리 및 구조 해석

하천공사는 홍수 시 안정성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해석이 필수적입니다.

수리해석: 홍수위 산정, 유량 분석, 하천 흐름 시뮬레이션

구조해석: 제방 및 구조물의 안정성 검토

3.2 법적 기준 및 지침 준수

하천공사는 국토교통부, 환경부 등의 관련 법규와 지침을 준수해야 합니다. 주요 기준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하천설계기준(국토교통부)"

"하천환경정비기준(환경부)"

"방재설계기준(행정안전부)"

3.3 친환경 및 지속가능성 고려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하천 설계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자연형 하천 정비 기법 적용

생태 복원 및 어류 서식처 조성

저영향개발(LID) 기법 활용

 

4. 설계 실무 요령

4.1 하천 횡단 구조물 설계

교량, 수문 등의 위치와 형상을 하천 흐름에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설계

통수능 확보 및 유속 변화 최소화

4.2 호안 및 제방 설계

유속 및 수위 변동을 고려한 호안재 선택 (돌망태, 식생매트 등)

제방 안정성을 위한 차수층 및 배수 시스템 적용

4.3 유지관리 및 보수 계획 수립

준설 및 퇴적물 관리 방안 포함

정기적인 점검 및 유지보수 계획 수립

 

5. 결론

하천공사 설계는 단순한 구조물 설계를 넘어, 홍수 예방, 환경 보호, 지역 발전을 모두 고려해야 하는 종합적인 작업입니다. 따라서 기본 조사부터 실시설계까지 각 단계를 면밀히 검토하고, 법적 기준과 친환경 설계 기법을 적극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천공사 설계실무요령(2024).zip
12.19MB
하천공사 설계실무요령(2024).z01
19.53MB
하천공사 설계실무요령(2024).z02
19.53MB
하천공사 설계실무요령(2024).z03
19.53MB

블로그 인기글

- 적정공사기간 확보를 위한 가이드라인 (2023.12.국토교통부)

- 하천공사 표준시방서 (KCS 51 00 00 : 2023)

- 하천시설물 표준도 예시도 (2024.01,환경부)

관련 영상

- 하천관련 영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