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기준및지침

건설공사 시공상세도 작성 지침 (2010.06, 국토해양부)

반응형

건설공사 시공상세도 작성 지침 (2010.06, 국토해양부) 표지

건설 현장에서 설계도면만으로는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시공 과정 중에는 구조적, 기술적, 환경적 변수에 따라 세밀한 정보가 요구되는데요. 이때 꼭 필요한 것이 바로 시공상세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시공상세도의 개념부터 작성 지침, 그리고 주의사항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1. 시공상세도란?

시공상세도는 설계도면을 기반으로 실제 시공에 필요한 부재의 형상, 치수, 재료, 접합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도면입니다. 쉽게 말해, ‘현장에서 어떻게 시공할 것인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죠.

예를 들어, 슬래브 단면의 철근 배근 방식이나 창호 설치 디테일 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시공상세도입니다.

2. 왜 필요한가?

시공 정확도 향상
불명확한 부분을 명확히 하여 오류를 방지합니다.

공정 관리 용이
공종별 작업 내용을 명확히 하여 공정 간 간섭을 최소화합니다.

협력업체 간 의사소통 도구
구조, 전기, 기계 등 다양한 분야 협력사와의 협업에 있어 기준을 제시합니다.

공사비 및 자재 절감
불필요한 재시공이나 자재 낭비를 줄입니다.

3. 시공상세도 작성 시 기본 지침

설계도면의 충분한 검토

설계도면의 목적과 내용을 정확히 이해한 후, 필요한 상세도를 파악합니다.

특히 교차부, 접합부, 매입부 등 구조적으로 복잡한 부위를 중심으로 접근합니다.

관련 기준 및 시방서 준수

해당 공사의 기술 기준, 표준 시방서, 설계 기준 등을 반드시 반영해야 합니다.

: 국토교통부 건설공사 표준시방서, KS 기준 등

③ 치수와 축척의 명확성

축척은 일반적으로 1:10, 1:20, 1:50 등 상세도가 요구되는 수준에 따라 결정합니다.

모든 치수는 명확히 기입하고, 공차 기준도 병기해야 합니다.

④ 부재 및 자재 정보 명시

자재의 규격, 재질, 두께, 도장 사양 등을 상세하게 기재합니다.

필요 시 단면도와 입체도를 병행해 표현합니다.

⑤ 시공순서와 방법 표시

특히 복잡한 시공 방법일수록 공정 순서를 단계별로 도식화하거나 설명을 첨부합니다.

4. 실무에서 자주 등장하는 시공상세도 예시

공종 주요 상세도 항목
구조 철근 배근 상세, 콘크리트 피복 두께
건축 마감재 접합부, 창호 설치 디테일
설비 배관 매입 상세, 덕트 설치 방식
전기 콘센트/배선 설치 상세, 전등 기구 매입

5. 작성 시 유의사항

도면 중복 및 불일치 방지: 기존 설계도면과의 충돌 여부를 반드시 검토합니다.

검토 및 승인 절차 이행: 작성된 상세도는 관련 기술자 및 감리자의 검토를 거쳐야 합니다.

현장 피드백 반영: 시공 중 발생하는 문제점은 상세도에 지속적으로 반영하여 업데이트합니다.

6. 마무리하며

시공상세도는 단순한 도면을 넘어, 건설공사의 품질과 안전을 확보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도면 하나에 담긴 정확성과 세밀함이 전체 공사의 성공을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건설공사 시공상세도 작성지침(2010).PDF
1.80MB
건설공사 시공상세도 작성지침(2010).hwp
0.98MB

 

함께 보면 좋은 글들

[건설기준및지침] - 건설공사의 설계도서 작성기준(개정) (2024.12, 국토교통부)

 

건설공사의 설계도서 작성기준(개정) (2024.12, 국토교통부)

건설공사는 설계 단계부터 시공, 유지관리까지 체계적인 관리를 필요로 합니다. 이 중 설계도서는 공사의 품질, 비용, 기간을 결정짓는 핵심 자료로, 명확하고 체계적인 작성이 필수입니다. 이

moment-page.tistory.com

[건설기준및지침] - 하천공사 표준시방서 (KCS 51 00 00 : 2023)

 

하천공사 표준시방서 (KCS 51 00 00 : 2023)

하천공사 표준시방서는 하천 관련 공사를 수행할 때 준수해야 하는 기술적 기준과 절차를 규정한 문서입니다. 이는 공사의 품질을 확보하고 안전성을 높이며, 환경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moment-page.tistory.com

[건설기준및지침] - 하천시설물 표준도 예시도 (2024.01,환경부)

 

하천시설물 표준도 예시도 (2024.01,환경부)

하천은 자연환경과 인류의 생활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홍수 예방, 수질 정화, 생태 보존 등을 위해 다양한 하천시설물이 설치됩니다. 이러한 시설물을 계획하고 설계할 때

moment-page.tistory.com

 

반응형